최신정책정보

미국 ACLED 연구소의 세계 분쟁 현황 평가 / KIMA Newsletter, 제1735호 (2025-01-07)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admin
댓글 0건 조회 588회 작성일 25-01-08 11:11

본문

미국 ACLED 연구소의 세계 분쟁 현황 평가 / KIMA Newsletter, 1735(2025-01-07)


지난 1212일 워싱턴포스트(Washington Post)는 영국에 본부를 둔 세계 군사분쟁 위치와 분쟁 데이터(Armed Conflict Location and Event Data: ACLED) 연구소가 발간한 최근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담은 기사를 보도했다.

지난 5년간 세계주요 분쟁은 약 5배가 증가하는 심각성을 보였다. 이는 과거 어느 해보다 증가세가 컸다.

분쟁 증가의 주요 원인은 국가 단위의 분쟁이 아닌 카르텔 간 분열과 재래식 무기로 무장된 무장단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 등이었으며, 이에 따라 국가가 주관하는 분쟁과 무력충돌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ACLED에 따르면, 2020년 세계 주요 분쟁은 약 104,371개로 추산되나, 2024년에는 약 200,000개에 이르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해외 매체 등을 통해 국제사회에 전달되는 주요 분쟁 이외에 수단, 멕시코, 아프리카 사하라 지역 등에서의 소규모 분쟁들은 국제사회에 잘 알려지지 않아 그 피해와 규모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고 평가했다.

ACLED 연구소는 세계 주요 분쟁에 개입된 약 50개국을 기반으로 분쟁의 수준을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이들 50개국 중에 리비아와 니게르 등의 약 19개 국가에서는 저강도 수준을 보였고, 하이티, 베네수엘라 등의 20개 국가에서는 고강도 수준을 보였으며, 미얀마, 팔레스타인 등 10개 국가에서는 매우 극단적 분쟁 수준을 보인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4개국만이 무력 충돌 또는 분쟁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매우 이례적으로 ACLED 보고서는 2024년에 선거가 있었던 약 700개 국가에서 선거 이외에 각종 정치 폭력, 반대 세력과의 무력 충돌이 발생했고 2023년과 비교 시 약 25%가 증가한 기이한 모습을 보였다면서, 선거가 민주주의를 대변하는 수단이 아닌 경쟁 무장단체와 극한 정치단체 간 무력 충돌을 일으키는 핑계가 되는 기현상이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특히, 2024년 선거를 치른 국가 중 63개 국가가 정치적 혼란과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는 모습을 보였다면서 이들 국가에서는 선거를 민주주의 진정한 수단으로 인정하지 않고 반대 세력을 공격하기 위한 핑계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 선거를 치르는 않는 국가와 매우 이례적인 대비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2024년은 2023년과 비교해 중산층과 부유층이 많은 국가에서 무력 충돌과 분쟁이 많이 발생했으며, 이는 그동안 많은 안보 전문가들이 세계 주요 무력 충돌과 분쟁이 주로 저소득층이 많은 국가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논리와 반하는 모습을 보인 사례라고 평가했다.

ACLED 보고서는 과거와 달리 비정부단체 간 무력충돌과 분쟁에서 무인기와 원격 조종 무기들이 대거 투입되는 양상을 보였다면서,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하마스 간 무력충돌만이 아닌 각종 무장 카르텔 간 세력 확장을 위해 대량의 무인기와 원격 조종 무기를 투입하는 양상으로 악화됐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또한 이러한 분쟁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가 많이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예를 들어, 중동에서의 당사국 간 전쟁과 무력충돌 이외에도 예멘 후티 반군이 개입해 민간인 피해가 많이 발생했다. ACLED 보고서는 2024년 공식화된 민간인 피해 규모를 233,000명으로 추산했으며, 공식 집계되는 않은 민간인 피해를 포함하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마지막으로 ACLED는 현재 추세를 고려하면, 2025년도에는 2024년 대비 약 15%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갈수록 세계 분쟁과 무력충돌이 증가하는 양상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한편, ACLED 연구소는 2014년부터 미국에 비영리 연구소로 등록됐으며, 2010년부터 세계 분쟁 현황을 매년 보고서로 발표하고 있다. 전 세계 약 50개 파트너십 기관과 협력해 발간하는 연구 보고서는 유엔, 유럽연합, 비정부단체, 각종 주요 매체 등에서 세계 분쟁 현황을 파악하는 데 참고하고 있다.

* 출처 : ACLED, "Conflict Index:December 2024 Global conflicts double over the past five years”, https://acleddata.com/conflict-index/: Washington Post, December 12, 2024.

저작권자한국군사문제연구원(www.kima.re.kr)

BEMIL 군사세계 / 조선일보, 2025-01-07

 

----------

<붙임자료>


한국군사문제연구원, 미국 ACLED 연구소의 세계 분쟁 현황 평가, KIMA Newsletter, 1735(2025-01-07).


22ea0058f273e5a88b08f6d4866b00f3_1736302243_2741.png

22ea0058f273e5a88b08f6d4866b00f3_1736302245_4008.png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