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정책정보

“정예 군사력 건설·국방개혁 적극 추진” / 총 123대 국정과제 중 ‘국익 중심 외교안보’ 15개 국정과제, 62개 실천과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admin
댓글 0건 조회 49회 작성일 25-08-13 20:26

본문

정예 군사력 건설·국방개혁 적극 추진” / 

123대 국정과제 중 국익 중심 외교안보’ 15개 국정과제, 62개 실천과제

[외교안보] “국익이 먼저정부, 임기 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국정 5년 계획]


국정기획위, 국정운영 5년 계획안

한미동맹 고도화·지속 가능 평화 구축

국익 최우선 실용외교 글로벌 리더 도약

K방산 역량 강화 방산 4대 강국 견인

 

국민주권정부가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라는 기치 아래 정예 군사력 건설 및 인구 감소 등 국방환경 변화에 대응한 국방개혁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국정기획위)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국민보고대회를 열고 이런 내용이 담긴 국정운영 5년 계획안을 발표했다. 계획안에는 국방안보는 물론 개헌, 검찰개혁, 인공지능(AI) 산업 육성, 지역·계층 간 불평등 해소 등 정부의 개혁의지를 담은 국정과제가 총망라됐다

계획안에 담긴 5대 국정목표 가운데는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가 포함됐다. 국정기획위는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는 굳건한 한미동맹과 정예 군사력을 기반으로 한반도 평화 정착과 국익 최우선의 실용외교로 국제사회 의제를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북핵·미사일·사이버 위협에 대비한 정예 군사력을 건설할 방침이다. 동시에 인구 감소와 국방환경 변화에 대응한 국방개혁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또 방산 벤처·중소기업 육성, 방산 연구개발(R&D) 확대 등 K방산 역량 강화로 방산 4대 강국도약을 견인할 방침이다.

남북 관계는 다방면의 교류협력과 평화 공존을 제도화해 한반도 리스크한반도 프리미엄으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또 국익 중심 실용외교 기조 아래 한미동맹을 고도화하는 동시에 외교 다변화를 추진해 비핵화 및 지속 가능한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 밖에 사회적 대화 활성화와 평화·통일·민주시민 교육으로 국민과 함께하는 대북·통일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홍현익 국정기획위 외교안보분과장은 주요 내용을 설명하면서 3축 방어체계 고도화 임기 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K방산 4대 강국 도약 남북 관계 정상화 등을 거론했다.

국정기획위는 이날 5대 국정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23대 추진전략과 123대 국정과제를 제시했다. 정부는 최종 검토와 국무회의를 거쳐 이를 확정할 예정이다.

맹수열 기자 / 국방일보, 2025-08-13

 

-------------

 

국정기획위, 이재명 정부의 국정 청사진 제시123대 국정과제 담아

16c394c856ede5f1c8f33b9370c0fbf0_1755084048_0192.png

국정운영 5년 계획() 체계도(출처: 국정기획위원회 발표자료)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정책뉴스 / 국정기획위원회, 2025-08-13)

국정기획위, 이재명 정부의 국정 청사진 제시123대 국정과제 담아 - 정책뉴스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그래픽]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년 계획안 주요 내용

16c394c856ede5f1c8f33b9370c0fbf0_1755084077_6618.png

(서울=연합뉴스) 이재명 정부가 5년간 추진할 국정과제가 13일 베일을 벗었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국민보고대회를 열어 발표한 '국정운영 5년 계획안'에는 개헌부터 검찰·국방개혁, 인공지능(AI) 산업 육성, 지역·계층 간 불평등 해소까지 새 정부의 개혁 의지를 담은 국정과제가 빼곡하게 담겼다.

김영은 기자 0eun@yna.co.kr / 연합뉴스, 2025-08-13

 

-----------

 

[외교안보] “국익이 먼저정부, 임기 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국정 5년 계획]

 

국군, 감시 정찰·작전 계획·지휘 능력 제고

대북억제력 향상 통한 전작권 회수

3축 방어체계 고도화북핵·미사일 대비

남북관계 정상화·실용외교 계획도


16c394c856ede5f1c8f33b9370c0fbf0_1755084114_3131.png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을 추진한다. 국군의 감시 정찰, 작전 계획·지휘 능력 등 대북 억제력을 향상시켜 이 대통령 임기 내에 전환을 완수하겠다는 구상이다.

13일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에 따르면 123대 국정과제 중 외교안보 관련 과제는 국방, 통일, 외교 각각 5개 씩 총 15개로 구성됐다. 국방 과제 중에서는 전작권 전환이 포함됐다.

전작권은 전쟁시 한국군의 작전을 누가 지휘하고 통제할 지를 결정하는 권한이다. 평시에는 한국군 합참의장이 자체적으로 작전을 통제하지만, 전시에는 미군 4성 장군인 한미연합군사령관이 작전통제권을 행사한다.

전작권 전환은 한국과 미국 간 군사 동맹에서 핵심적인 부분이자 해묵은 과제로 꼽힌다. 2006년 노무현 정부가 전작권을 20124월까지 전환하기로 미국과 합의했지만, 이명박 정부 때 전환 시기를 201512월로 연기했다. 이어 박근혜 정부 때는 전환 시기를 정하지 않고 조건이 충족되면 전환하기로 합의했고 현재는 이 조건부 전환이 유지되고 있다.

전작권 전환 조건은 연합 방위 주도를 위해 필요한 군사적 능력 동맹의 포괄적인 북한 핵·미사일 위협 대응 능력 안정적인 전작권 전환에 부합하는 한반도 및 역내 안보 환경 등이다.

이재명 정부는 국군의 정찰, 타격, 방어 등 핵심 군사력과 대응력을 높여 전작권을 환수하겠다는 계산이다. 특히 북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한 독자적인 억제력을 확보하기 위해 3축 방어체계를 고도화한다. 3축 방어 체계는 킬 체인(Kill Chain), 한국형 미사일 방어 체계(KAMD), 대량 응징 보복(KMPR)으로 구성된다. 또 군 구조·병과를 개편하고 민간자원 활용, 예비전력 정예화도 추진한다.

홍현익 국정위 외교안보분과장은 굳건한 한미 동맹을 기반으로 전작권 전환 이행 로드맵을 조속히 마련해 실행할 것이라며 우리 군의 감시 정찰과 작전 계획 및 지휘 능력을 향상시켜 대북 억제 태세를 구현하겠다고 강조했다.



 

16c394c856ede5f1c8f33b9370c0fbf0_1755084143_3925.png

연합뉴스 홍현익 국정기획위원회 외교안보분과장이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한편 이재명 정부는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 연락 채널 복원 남북 회담·민간 교류·인도적 협력 재개 남북 기본협정 체결 등을 통일 분야 정책으로 내놨다.

이외에도 이재명 정부는 실용 외교를 외교 전략으로 꺼냈다. 이를 통해 한미 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시키고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국과의 관계도 국익과 실용의 관점에서 관계를 증진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신남방·신북방 정책을 계승하고 외교 다변화도 추진해 G7+ 외교 강국을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홍 분과장은 경제 안보 통상 이슈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경제안보 점검회의를 정례화할 것이라며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체제 수립을 위한 노력도 지속적으로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승호 기자 peter@etoday.co.kr / 이투데이, 2025-08-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