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사 징계기록, 전역할 때 지워준다…전역자에도 소급 적용 / 「병 인사관리 훈령 개정안 행정예고」 (국방부공고 제2025-10…
페이지 정보

본문
병사 징계기록, 전역할 때 지워준다…전역자에도 소급 적용 /
「병 인사관리 훈령 개정안 행정예고」 (국방부공고 제2025-102호)
'병 인사관리 훈령' 개정안 행정예고…6월 시행 예정
(서울=연합뉴스) 김철선 기자 = 병사가 의무복무 중 잘못으로 징계를 받았더라도 앞으론 전역할 때 징계 기록이 사라진다.
8일 군에 따르면 국방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병 인사관리 훈령 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예고기간은 이달 21일까지다.
현행 규정상 군인이 복무 중 징계를 받은 경우 그 기록은 병적자력에 남는다.
간부들의 경우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징계기록이 말소되는 규정이 있지만, 병사들에 대해선 이런 규정이 없어 징계기록이 꼬리표처럼 평생 따라다녔다.
이 때문에 군 복무 시절 자신의 징계 기록을 삭제해달라는 민원이 국방부에 여러 차례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는 이 같은 점을 고려해 병사가 의무복무를 마치고 전역하는 날 징계 등 군 내에서의 처벌기록을 말소해주는 조항을 이번 개정안에 신설했다.
행정예고를 거쳐 6월쯤 개정안이 시행되면 전역 후 인사자력표 등 군 관련 증명서에서 의무복무 시절 징계를 받은 사실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
이 같은 내용은 이미 전역한 병사들에게도 소급 적용된다.
다만 공무원 임용 요건 확인 등을 위해 필요한 경우 인사·법무 담당부서를 통해 말소된 처벌기록도 참고할 수 있다는 단서조항은 있다.
국방부는 훈령 개정 취지에 대해 "의무복무 만료자의 명예 회복을 위한 차원"이라고 밝혔다.
병에 대한 징계는 계급을 한 단계 낮추는 강등부터 군기교육, 감봉, 휴가단축, 근신 및 견책 등으로 구분된다.
최대 15일까지 구금하고 복무기간을 구금 기간만큼 늘리는 영창 제도는 2020년 군인사법 개정으로 폐지됐다.
김철선 기자 kcs@yna.co.kr / 연합뉴스, 2025-04-08
-------------
<관련자료>
국방부공고제2025-102호, 「병 인사관리 훈령 개정안 행정예고」 (2025년 4월 1일, 국방부장관).
---------------
<붙임자료 1>
국방부, 「병 인사관리 훈령」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2025-04-01).
---------------
<붙임자료 2>
국방부, 「병 인사관리 훈령 일부개정훈령안」 (2025-04-01).
첨부파일
-
붙임1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병 인사관리 훈령.hwp (39.5K)
0회 다운로드 | DATE : 2025-04-09 08:45:32 -
붙임2 병 인사관리 훈령 일부개정훈령안.hwp (38.0K)
0회 다운로드 | DATE : 2025-04-09 08:45:32
- 이전글미국, 동유럽 주둔군 1만명 감축 추진…유럽 안보불안 심화 / “US considers withdrawing up to 10,000 troops from Eastern Europe” vs “in potential clash with Pentagon, warns US troops should stay in Europe” 25.04.09
- 다음글군대 꺼리는 청년들…MZ 세대는 나라 위해 싸울까 / “Thinking about the notion of fighting for your country, which of the following is closest to your own view?” 25.04.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