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언론동향

사관학교의 부활… 퇴교자 줄고 도전자는 늘었다_ 극심한 취업난에 다시 인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admin
댓글 0건 조회 119회 작성일 25-02-27 12:24

본문

사관학교의 부활퇴교자 줄고 도전자는 늘었다

 

극심한 취업난에 다시 인기


567c566425b663e68ff2d21b30d3db5d_1740626619_6316.png

작년 3월 충북 청주시 공군사관학교에서 열린 제72기 임관식에서 사관생도들이 연병장에 서있다. /연합뉴스

 

작년 스스로 사관학교를 떠난 사관학교 생도들이 육··공군 모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육군사관학교는 기초 훈련 중도 탈락자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교육계에선 경기 침체로 극심한 청년 취업난이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민의힘 강대식 의원이 각 군에서 받은 사관 생도 퇴교 현황에 따르면, 작년 육··공군 사관학교에서 자진 퇴교한 학생 수는 총 93명으로, 재작년 120명에 비해 27(23%) 줄었다. 사관학교 자진 퇴교자는 2020년 총 40, 202152, 2022100, 2023120명까지 치솟았다가 지난해 갑자기 감소한 것이다. 학교별로 보면 육사(한 학년 모집 정원 330) 퇴교자는 202019명에서 202364명까지 늘었다가 지난해 58명으로 줄었다. 공사(235) 역시 202013명에서 202329명까지 늘었다가 작년 17명으로 감소했다.

기초 훈련을 받다가 퇴소하는 학생들도 줄었다. 사관학교들은 입학 전 합격자들을 모아 5주간 기초 군사훈련을 진행한다. 기본 동작 훈련, 생활 규정, 개인화기 사용법 등을 배우는 기간이다. 이때 다른 대학에 합격하거나 부적응 등을 이유로 중도 퇴소하는 학생들이 있다. 육사의 경우 202212, 202327, 202443명으로 퇴소자가 계속 늘어나는 상태였다. 그런데 올해 24명으로 전년보다 19(44%) 줄었다. 작년 30명이 중도 퇴소한 공사의 경우 이달 말까지 훈련이 진행되지만 퇴소자가 15명 수준으로 크게 줄 것으로 예상된다.

 


567c566425b663e68ff2d21b30d3db5d_1740626644_292.png

사관학교 입학 경쟁률도 오르는 추세다. 재작년 30.21이었던 공사 경쟁률은 지난해 37.61로 높아졌다. 육사는 28.91에서 29.81, 해사는 25.11에서 25.71로 늘었다.

최근 수년간 학교를 떠나는 사관생도들이 늘어난 것은 낮은 월급 등 임관 후 처우가 낮은 영향으로 분석됐다. 그러다 지난해 갑자기 자진 퇴교자가 줄어든 것은 경기 침체기 속에서 학비도 없고 취업이 보장되는 사관학교의 장점이 주목을 받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다. 국립인 사관학교들은 학비뿐 아니라 기숙사 등 비용이 모두 무료다. 4년 교육과정만 마치면 자동으로 임관해 공무원이 되기 때문에 취업 걱정도 없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일반 대학에 간 선배들이 비싼 학비 들여 대학 졸업하고도 취업이 안 되는 모습을 보고 사관학교에 남아야겠다는 판단을 하는 생도들이 많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비상계엄 사태에 동원된 군인들의 사기가 추락하면서 사관학교 인기가 더 떨어질 것이란 전망도 있었다. 그런데 정반대 결과가 나온 건 청년 취업난 속에서 사관학교의 장점이 학생·학부모들에게 더 현실적으로 다가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군인은 교육부가 매년 하는 학생 장래 희망 조사에서 3위권에 오르는 인기 직종이기도 하다.

월급 인상이나 진급에 대한 기대 심리가 커진 것도 주요 이유로 꼽힌다. 육사 출신인 윤형호 건양대 군사학과 교수는 그간 군 초급 간부 월급이 충격적으로 적어 군인 인기가 적었지만, 정부가 초급 간부 연봉을 대기업 수준으로 올리겠다고 밝힌 것도 이탈자를 줄이는 데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몇 년 전부터 초급 간부들의 연봉을 매년 인상하고 있다. 예컨대, 일반전초(GOP) 부대 소위의 초임 연봉(수당 포함)은 재작년 3800만원에서 작년 4500만원 수준으로 올렸고, 추후 6000만원으로 올릴 예정이다.

윤 교수는 또 최근 처우 불만으로 간부들이 대거 이탈하면서 오히려 임관을 앞둔 생도들 사이에 높은 자리를 노려볼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졌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기초 훈련 난이도가 하락한 것도 예비 생도 퇴소자 감소에 영향을 줬다는 의견도 있다. 한 공군 예비역 장교는 연이은 예비 생도 이탈과 작년 육군 신병교육대 훈련병 사망 사건 등으로 학교들이 기초 훈련 난이도를 떨어뜨렸다면서 몇 년 전만 해도 생도 대상 얼차려는 사실상 시간·횟수 제한이 없었지만 최근 팔 벌려 뛰기는 15회까지로 기준이 생겼다고 말했다.

김민기 기자 / 조선일보, 2025-02-27


----------------------

<관련 참고자료>


df483c4d40dcbbf62b854ee4b3a54bac_1740628856_2351.png



df483c4d40dcbbf62b854ee4b3a54bac_1740628858_7237.png

* 2021~20233년간, 2023학년도는 각 학교가 경쟁률을 공개하지 않았다.



df483c4d40dcbbf62b854ee4b3a54bac_1740628860_8787.png

* 출처: 한국경제 & hankyung.com, 2023-05-02 / 종로학원(임성호 대표이사)

https://www.career.co.kr/mobile/recruit/open_rec/economy_news_view.asp?brdSeq=153983&page=1&gubun=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